재정보조를 위한 구조조정이 최선이다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 때 구별할 수 있는 능력도 가질 수 있다. 이는 구별할 수 있어야만 어떤 문제든 해결 방안을 조치할 수 있다는 말이다. 분별력을 갖추는 능력은 분별할 수 있는 원칙과 기준이 분명히 뒷받침되어야 가능하다. 이러한 기본기를 갖추려면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기초가 되는 준비작업부터 시작해야만 할 것이다. 이는 문제 해결을 위한 구조조정 방법이다. 보다 나은 결과를 위한 최선의 대비책인 셈이다. 자녀가 대학에 진학 시 가정에서 부담해야 할 총 학비는 요즈음 피부로 와닿을 만큼 재정적으로 가정의 부담금 수위가 매우 높아졌다. 사립대학의 경우, 연간 9만 달러 혹은 그 이상 달하는 자녀들의 총 학비 부담은 해당 가정에서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이요 걸림돌이지만 대학에서 가정 형편에 알맞은 재정보조지원이 없이는 이를 스스로 감당해 나가기는 결코 쉽지가 않을 것이다. 하물며, 두 명의 자녀가 동시에 대학에 등록하는 상황은 이미 새로 바뀐 재정보조 공식 적용으로 학비 부담금이 이중으로 발생해 엎친 데 덮친 격과 같은 상황을 연출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정에서는 적지 않은 재정적 고통과 부담을 감내해야만 하는 현실이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학비 부담에 따른 재정 문제를 코앞에 닥친 후에 해결하고자 하면 이는 곧 풀어나갈 수 있는 즉흥적 문제 해결이 바로 이뤄질 수 없으므로 특히 이 부분에 유의해서 사전에 미리 구조조정으로 문제점들의 근본 원인을 차분히 풀어나가야만 한다.
문제 해결은 곧 재정보조 극대화를 목표로 진행해야 하는 현실적인 사안이며 무엇보다 해당 시점의 재정상황부터 파악해야 함이 우선 이뤄져야 한다. 가정마다 처한 다양한 재정구조 및 상황은 재정보조 공식과 연방법에 의거해 실질적인 구조조정이라는 실전으로 그 결과는 자녀가 대학 재학 중 제공받을 수 있는 재정보조금 혜택에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한 예로써, 수입을 적게 보이려고 일부러 IRA/SEP/SIMPLE IRA나 401(k) 혹은 403(b) 나 TSP 등의 불입금을 최대로 늘려나갈 경우, 이러한 불입금은 오히려 Untaxed Income으로 대학의 재정보조에 있어서 더 큰 불이익으로 다가올 것을 전혀 모른 채 학부모 자신 나름대로 이러한 처신이 자신은 최선을 다해 준비했다고 한다. 그러나, 결과는 정반대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진행하기 바란다. 학부모 자신의 고정관념이나 재정보조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내용부터 구조조정을 시작해야 할 듯하다. 이렇게 잘못된 사고방식이나 고정관념은 자신의 재정 부담액에 있어서 얼마나 어떻게 불이익을 주는지 어떠한 문제들을 야기할지 모두 사전에 검증된 분석을 통해 구조조정을 통한 설계를 해야 한다는 말이다. 실천보다 사고방식의 전환을 통해 현실 문제의 파악은 보다 나은 재정보조를 위한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깨닫게 될 것이며 재정보조 극대화를 위한 지름길이다. 현실을 잘 분별하는 것은 보다 나은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학부모들은 어느 시점에서든 오픈 마인드와 현실 파악을 주저하지 않는 사고방식을 가져야 하며 당면한 문제를 잘 파악해 어떠한 조치부터 우선순위를 두고 실행할지 여부로 대학별로 재정 부담을 충분히 지원받기 위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재정보조 신청서에 기재할 입력 정보부터 정제된 정보 없이 재정보조를 극대화할 수 없다. 따라서, 재정보조를 위한 구조조정을 언제부터 시작할 수 있을지 여부로 그다음 단계가 보다 효율을 높이며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설계는 자녀가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시점부터 시작하지 않으면 이를 미리 시작한 가정보다 그 혜택이 크게 줄고 치열한 경쟁상황에 뒤질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다. 따라서, 자녀들의 미래는 학부모들의 대학 입학 사정 준비와 아울러 재정보조 준비를 동시에 시작할 때에 그 중요성을 재조명해 나갈 수 있다. 금년도에는 재정보조 공식도 크게 바뀌었고 상기 지적한 구조조정에 대한 문제가 보다 구체적으로 그 혜택의 차이가 나타나게 되었다. 앞으로 올 4월부터 각 대학별 제공받은 재정보조 수위에 대해 문제점들이 크게 발생될 예상이다. 따라서, 발생되는 문제들을 개별적으로 풀어나가기 위한 사전 예방 차원의 대책은 보다 시급히 풀어나가야 할 과제인 것이다.
문의: (301)219-3719 remyung@agminstitut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