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보조의 성공은 정체성부터 확립해야
재정보조의 전반적인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그 정체성을 확인하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러한 정체성에 대한 기본이 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진행순서 별로 분제가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다. 문제라면 늘 어떠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나 상황에 봉착했을 때에 그제서야 해결방안을 찾으려 하기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결론적으로 사전에 발생할 수 있는 내제된 문제를 찾기위한 노력이 거의 없기에 늘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는 말과 상통한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불감증 이전에 문제들을 정의한다면 이미 발생한 문제와 발생하지 않고 내제된 문제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문제가 발생한 이후에 문제해결을 하기 위한 비용과 노력은 발생하기 전에 진행하는 비용이 더 적다. 문제해결면에서도 사전에 해결하는 방법이 더 확실하며 성공확률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요즈음 학부모들의 문제에 대한 불감증은 재정보조 진행에서 가장 큰 적이 아닐 수 없다. 이렇게 내제된 문제를 먼저 파악하고 대비하기 위해서는 재정보조 전반에 대한 정체성이 어디에 있는지부터 확인하고 보다 과학적으로 입증된 사실에 기반해 접근하는 사고방식을 갖춰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원론적인 해석을 토대로 재정보조에 대한 내제된 문제점을 발견하는 일과 노력이 가장 실질적인 중요한 이슈로써, 예를 들어, 가정의 현 재정상황에서 대학에서 지원받는 재정보조금이 결과적으로 4천달러가 적게 나왔다고 가정하면, 어느 가정이든지 자녀가 진학하는 대학에서 연간 총학비의 거의 대부분을 지원받았다면 매우 만족해 할 수있다. 그러나, 자세히 재정보조 내역서를 면밀히 검토했을 때 만약 재정보조금 구성에 무상보조금, 즉 그랜트나 장학금 등이 4천달러나 자신의 재정상황과 비슷한 가정이 대학으로부터 지원받는 평균 금액보다 더 적게 나왔다면 반갑게 반을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만약, 8만달러를 재정보조 지원받았다고 할 때에 왜 자신은 8만4천달러를 지원받지 못했고 재정보조의 형평성을 벗어나 차별을 받아야 하는지 조차 이해가 가지않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내면에는 재정보조 내역서는 모두 숫자로만 기제된다는 점에 기초한다. 눈에는 4천달러 차이가 그리 크게 느껴지지 않지만, 무엇보다 이런 재정보조 차이를 분석할 수 있는 기초자료나 능력이 학부모들에게는 대부분 없는 것이 공통점이며,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판단능력의 부재도 대개 학부모들이 지원받은 금액이 크다고 착각할 떄에 만족스럽게 만든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문제해결 방안을 찾는 것은 전반적인 재정보조의 정체성에 기인한 이해에 있다. 주어진 상황에서 어떠한 선택을 할지 여부로 그 결과는 정반대로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이러한 선택은 위험한 상황을 위대한 상황으로 본인이 어떻게 대응할 수도 있을지 여부로 크게 바뀔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기 바란다.선택이 가지는 필연성으로 인해 아무 준비도 하지 않고 선택하지도 않았다고 해도 이는 선택을 이미 한 것이기에 반드시 이에 따른 결과는 나타난다. 여기서 자녀들을 위한 한번의 선택에 대한 결과를 다시 반복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결과에는 U턴이란 없는 현실부터 자각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재정보조의 문제해결은 문제가 내제된 정체성부터 확인하고 보다 나은 결과를 향한 사전설계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제 학자금 신청시즌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대학의 합격에 발맞춰 한치의 오차도 없도록 수입과 자산면에서 만반의 준비를 해야만 한다. 우엇보다도 사전설계와 적극적인 실천에 대한 정체성의 확립에 총력을 기울이기 바란다.
문의) 301-219-3719, remyung@agminstitut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