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보조를 실패하는 부모들의 공통적인 습관

October 14, 2020

늘 강조하는 말이지만 재정보조를 실패하는 학부모들의 공통적인 습관을 분석하면 앞으로 다가올 재정보조의 신청과 진행에 대해 성공하는 가정은 성공하는 이유가 있고 실패하는 가정도 그 실패의 이유가 반드시 있다는 점에서 특히, 실패가 발생하는 기준은 무엇이며 그 원인은 어디에서 근원이 되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검증결과는 현재 진행되는 재정보조의 성공을 바라는 기초적인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사전에 문제가 될 소지부터 가려내는 일은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문제발생의 근본을 정의해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풀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마련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첫째로 최선을 다해 재정보조 신청과 진행을 했는데 그 결과가 잘된 것인지 혹은 잘못된 것인지조차 판단하는 기준이 없다 문제 그 자체가 학부모들이 접하는 근본적인 난제이다. 지원하는 사립대학에서 만약 가정형편에 따라 평균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재정보조금이 6만 8천달러인데 반해 해당가정에서 6만 4천달러를 지원받았다면 4천달러라는 지원금액의 차이는 Need Based Financial Aid에서 재정보조 형편성의 원칙을 지키지 않은 것이다. 더욱이 4천달러의 무상보조금이라면 절대로 적지 않은 금액이다. 대부분의 가정은 이러한 경우에 재정보조를 잘 받은 것 아니냐는 식으로 자화 자찬할 상황일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4천달러나 지원을 적게 받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과연 형평성을 떠나 차별을 받은 느낌밖에 들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일들은 매우 흔히 발생한다. 특히 학부모들 중에는 상기 6만 4천달러로 대학의 평균치보다 적은 지원을 받았지만 이러한 사실조차 모르면서 “우리 애가 다 잘 알아서 진행했어요. 많이 받은 것 같아요.” 라는 식의 반응을 나타내는 등 제 각각 일 것이다. 둘째로 지적할 수 있는 문제는 사전에 피해갈 수 있었지만 “과연 그렇게 진행될까 혹은 이 정도면 당연히 대학에서도 이해하겠지 하는 식의 재정보조 신청서 제출내용에 대한 안이한 사고방식과 기대감이 주는 근거가 없는 기대에 따른 문제이다. 대부분의 경우가 이렇게 안이하게 대처해 나가다 큰 낭패를 당하는 경우가 무척 많다는 점이다.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나기 마련이다. 원인이 없는 결과도 없으므로 이러한 안이한 접근방식은 그 시작자체가 처음부터 방향이 잘못된 것이다. 

 

우리가 말할 수 있는 방향은 360도이다. 정확히 맞는 방향은 오로지 한 방향 밖에 없기에 결과적으로 가정에서 선택하는 방향은 결국 360분의 1이라는 확률밖에는 없는데 이러한 결정을 가지고 행동하는 그 자체가 위험한 발상이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그 정한 한 방향을 잘못 선택할 확률이 높아져 자연히 자녀의 미래가 좌우될 수도 있다 점에서 아무리 확률이 있는 도박이라 할지라도 검증되지 않은 방법으로는 절대로 나가서는 안된다. 

 

대부분의 부모들의 공통적인 버려야 할 습관은 무슨 일을 진행함에 있어서 무엇이든지 검증된 방법으로 진행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공통적으로 잘못되는 경우를 보면 대부분 주위의 검증되지 않은 개인의견을 참고해 누가 이렇다고 한다는 식으로 가장 신중해야 할 결정을 사실에 입각해 검증하지 않은 채 믿고 진행해 나가야는 무모한 도박과 같을 수 있다. 한 예로써, 그 동안 상담한 대부분의 과정에서 학생들이 대입원서를 조기전형(i.e. Early Action/Decision)으로 접수한다고 한다. 금년도에 미 전역의 2만 7천개 고등학교에서 3백7십만여명이 졸업했으며 이 중에 공립고등학교에서만 3백3십만명이나 졸업했다. 어마어마한 숫자이다. 지난 3년간 거의 20퍼센트 이상의 졸업생들이 증가한 것이다. 그 이유는 Millennial Baby Boomer들이 증가한 것인데, 이제 증가한 만큼 자신들과 비슷하게 경쟁하는 성적과 스펙이 거의 같은 학생들이 증가했다는 사실이며 거의 대부분 조기전형이 입학사정에 유리하다고 검증해 보지도 않은 채 주위의 개인의견에 따라 귀 기울여 지원해 후회하는 가정이 많다는 사실이다. 오히려 일반전형보다 못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즉, 조기전형 지원자들의 거의 70퍼센트가 자동으로 Defer가 된다는 사실이다. 즉, 해당 대학에서는 Defer된 학생들에게 추가로 추천서를 더 제출해 달라고 요청한다. 매년 12월 15일에서 12월 18일 사이에 조기 전형의 발표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주가 이 기간보다 한 두 주일이나 일찍 방학을 시작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고등학교 선생님의 추천서 한가지를 더 제출해 주기를 요구한다. 하지만, 이미 방학이 시작이 된 터라 추천서는 물 건너 간 형국이며 결과적으로 전략적인 입학사정과 대학선택 및 재정보조금 지원에도 많은 실수를 막아야 하겠다. 이 같은 실패를 좌초하는 공통적인 습관은 검증과정을 거쳐 다시 최선의 길을 찾아야 할 것이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모든 검증을 거쳐 최선의 방법과 자녀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쉼 없는 전진을 바랄 뿐이다. 

 

 

                                                             문의) 301-219-3719, remyung@agminstitute.org